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대한뇌졸중학회

ENGLISH


뇌졸중진료지침뇌졸중 진료지침

영양 (Nutrition) - 발간: 2009.10

PDF 다운로드 다운로드(548)

서론

급성기 뇌졸중 환자는 삼킴장애로 인해 충분한 경구 영양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며, 뇌졸중 증상이 심해 의식이 저하된 경우에는 흡인성폐렴의 위험성 때문에 더욱 식이 섭취가 제한적 일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영양불균형 혹은 영양실조는 뇌졸중 환자의 회복에도 좋지않은 영향을 미친다.1

 

근거

경구섭취장애로 인해 발생한 탈수증 및 영양불균형은 뇌졸중 환자의 회복을 더디게한다.2 따라서 연하곤란으로 인해 경구섭취가 충분하지 않을 때는 영양공급과 경구약물 투여의 목적으로 비위관(Nasogastric tube)를 삽입하기도 한다.3 비위관을 유지하기 곤란한 환자나 장기간의 비위관 삽입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일부의 환자에서는 경피적 위루술(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을 시행하기도 한다.4 뇌졸중 환자의 영양에 관해 현재까지 이루어진 대규모 임상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연하곤란으로 인하여 충분한 경구섭취가 어려울때, 비위관을 통한 영양공급 이뇌졸 중발생 7일 이내에 이루어지면, 그렇지 않은 환자군에 비하여 사망률을 줄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7일 이내에 시술되는 비위관과 경피적 위루술의 임상효과를 비교한 부분에서는 비위관이 경피적위루술 보다 환자의 사망률과 회복에 유리한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5 한편 뇌졸중 환자의 영양공급을 위한 경구 영양제 임상시험에서 경구 영양제 치료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사망률이나 예후 불량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6

외국의 권고사항

1. Every patient should have his/her nutritional status screened by appropriately trained personnel, using a valid nutritional screening method, within 48 hours of admission. Nutritional and hydration support should be considered in any patient with malnutrition or difficulties feeding (RCP, SIGN: LOE IIb, GOR B).

2. Patients who cannot take food and fluids orally should receive nasogastric, nasoduodenal, or PEG feedings to maintain hydration and nutrition while undergoing efforts to restore swallowing (ASA: LOE IIb, GOR B).

3. Nutritional supplements are not needed (ASA: LOE Ib, GOR A).

4. Patients in the early recovery phase should be reviewed weekly by the multidisciplinary team to ascertain if longer term feeding is required (SIGN: LOE IV, GOR C).

5. Feeding via 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 (PEG) is the recommended feeding route for long term (>4 weeks) enteral feeding. Patients requiring long term tube feeding should be reviewed regularly (SIGN: LOE IV, GOR C).

국내의 권고사항

1. 급성 뇌졸중 환자들에서 연하곤란 여부에 대한 평가와 기본 영양상태에 대한 평가가 입원후 가능한 한 빠른시기에 이루어져야 한다. (근거수준IIb, 권고수준B)

2. 경구 섭취가 불충분한 환자는 비위관 삽입을 통해 영양공급과 약물투여를 시행하도록 하며, 연하곤란에 대한 치료를 지속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연하곤란에 대한 재평가를 통해 비위관 유지의 필요성을 검토하도록 노력한다. (근거수준IIb, 권고수준B)

3. 영양실조가 있는 환자에서는 영양균형을 찾기 위해 노력하여야 하나, 모든 뇌졸중 환자에서 일률적으로 영양제를 추가할 필요는 없다. (근거수준Ib, 권고수준A)

4. 장기간 비위관유지가 필요하거나, 기타 이유로 비위관을 유지하기가 곤란할때는 경피적 위루술을 고려해볼 수 있다. (근거수준IV, 권고수준C)

참고문헌

1. FOOD Trialis Collaboration, Poor nutritional status on admission predicts poor outcomes after stroke: observational data from the FOOD trial. Stroke. 2003;34:1450-1456.

2. Choi-Kwon S, Yang YH, Kim EK, Jeon MY, Kim JS. Nutritional status in acute stroke: undernutrition versus overnutrition in different stroke subtypes. Acta Neurol Scand. 1998;98:187-192.

3. O'Mahony D, McIntyre AS. Artificial Feeding for Elderly Patients after Stroke. Age Ageing. 2006;24:533- 535.

4. James A, Kapur K, Hawthorne AB. Long-term outcome of 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 feeding in patients with dysphagic stroke. Age Ageing. 1998;27:671-676.

5. Dennis MS, Lewis SC, Warlow C. Effect of timing and method of enteral tube feeding for dysphagic stroke patients (FOOD): a multicentre randomised controlled trial. Lancet. 2005;365:764-772.

6. Dennis MS, Lewis SC, Warlow C. Routine oral nutritional supplementation for stroke patients in hospital (FOOD): a multicentre randomised controlled trial.Lancet. 2005;365:755-763.

TOP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