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2 |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gait 및 balance 회복에 대한 cerebellar intermittent theta-burst stimulation 의 효과 규명 연구 (Randomized Clinical Trial)
|
2018-12-20 |
3,761 |
811 |
급성 경미한 뇌졸중이나 일과성 허혈 발작에서 aspirin과 clopidogrel 이중 용법과 aspirin 단독 요법의 효과 비교 연구 (Comparative Effectiveness of Aspirin and Clopid
|
2018-12-12 |
3,054 |
810 |
급성기 뇌졸중에서 GABAA a5 길항제에 의한 신경학적 회복과 뇌경색 주변 부위의 재형성 향상
|
2018-11-27 |
2,937 |
809 |
만성기 뇌졸중 환자에서의 상지 운동 기능 회복에 대한 미주신경 자극의 효과 검증 연구 (Blinded Randomized Pilot Study)
|
2018-11-20 |
2,665 |
808 |
두개내 동맥경화와 동맥박리에 따른 뇌경색 예후 비교 연구
|
2018-11-13 |
2,865 |
807 |
뇌동맥류 파열에서의 니코틴의 역할
|
2018-10-30 |
2,424 |
806 |
뇌졸중 후 motor recovery 에 대한 dextroamphetamine 효과 규명 연구: Randomized Clinical Trial
|
2018-10-29 |
2,707 |
805 |
대형 동맥 경색을 이용한 대뇌 피질 대뇌 동맥 영역의 매핑 - Mapping the Supratentorial Cerebral Arterial Territories Using Large Artery Infarcts
|
2018-10-10 |
3,388 |
804 |
뇌졸중 후 자연회복된 마우스에서 RNA-시퀀싱 분석을 통한 운동대뇌피질 변이체의 확인
|
2018-09-28 |
3,933 |
803 |
뇌졸중으로 인한 dysphagia 환자에서 조기 decannulation 을 위한 pharyngeal electrical stimulation (PES) 의 효과 규명
|
2018-09-27 |
3,258 |
802 |
중증의 심혈관 질환 위험이 있는 환자의 초기 혈관 사건 위험을 줄이기 위한 아스피린 사용: 무작위, 이중 맹검, 위약 대조 시험
|
2018-09-10 |
3,606 |
801 |
N-Acetylcysteine derivatives의 뇌경색 보호효과
|
2018-08-30 |
5,053 |
800 |
뇌졸중 이후 motor recovery 에 대한 navigated rTMS 의 효과 규명 연구 : The NICHE Trial
|
2018-08-20 |
4,726 |
799 |
스텐트 리트리버 통과 횟수와 무의미한 혈관 재개통의 연관성
|
2018-08-10 |
4,526 |
798 |
지주막하 출혈 환자의 임상적 결과와 뇌척수액의 신경줄기세포의 증식 능력의 양의 상관관계
|
2018-07-30 |
5,7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