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대한뇌졸중학회

ENGLISH


뉴스룸뇌졸중 뉴스

염증성 바이오마커, 대뇌미세출혈 및 소혈관 질환: Framingham Heart Study
  • 관리자
  • 2015-03-17
  • 조회수 : 5,632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circulating biomarkers of inflammation and MRI markers of small vessel disease. 순환하는염증성 바이오 마커와 소혈관 질환의 MRI 마커 사이의 관계를 규명한 연구 결과가 최근 Neurology에 발표되었다. 연구자들은 15개의 Biomarker- systemic inflammation을 반영하는 Biomarker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interleukin-6, monocyte chemotactic protein-1, tumor necrosis factor α,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2, osteoprotegerin, and fibrinogen), vascular inflammation을 반영하는biomarker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 1, CD40 ligand, P-selectin, lipoprotein-associated phospholipase A2 mass and activity, total homocysteine,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oxidative stress (myeloperoxidase), 뇌MRI에서 cerebral small vessel disease (CSVD)의 허혈(white matter hyperintensities/silent cerebral infarcts) 및 출혈(cerebral microbleeds) biomarker -를 포함하는panel을 이용해서 cross-sectional study를 1,763 stroke-free Framingham offspring (mean age 60.2 ± 9.1 years, 53.7% women)을 대상으로 수행했다. 대뇌 microbleed 가 있는 대상자들의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2와 myeloperoxidase의 농도가 높았으며(odds ratio [OR] 2.2, 95% confidence interval [CI] 1.1-4.1 and OR 1.5, 95% CI 1.1-2.0, respectively),더 높은 osteoprotegerin (OR 1.1, 95% CI 1.0-1.2),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 1 (OR 1.7, 95% CI 1.1-2.5), lipoprotein-associated phospholipase A2 mass (OR 1.5, 95% CI 1.1-2.1)및 더 낮은 myeloperoxidase (OR 0.8, 95% CI 0.7-1.0)는 더 많은 white matter hyperintensitiy volume과 silent cerebral infarcts과 관련되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를 통해 CSVD의 pathogenesis에 inflammation이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다른 inflammatory pathways에 따라 허혈성 혹은 출혈성 아형으로 다르게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이런 biomarker들이 뇌졸중의 위험 예측 및 CSVD의치료 목표를 설정하는데 도움이 되는지 알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Inflammatory biomarkers, cerebral microbleeds, and small vessel disease: Framingham Heart Study.
ShoamaneshA1, PreisSR2, BeiserAS2, VasanRS2, BenjaminEJ2, KaseCS2, WolfPA2, DeCarliC2, RomeroJR2, SeshadriS2. Neurology. 2015Feb24;84(8):825-32..
 

출처ㅣ 뇌졸중임상연구센터 

TOP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