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대한뇌졸중학회

ENGLISH


뉴스룸보도자료

[조선일보] [전문가칼럼] 365일 24시간 작동하는 뇌졸중 안정망 구축하려면
  • 관리자
  • 2023-08-08
  • 조회수 : 173
기사원문https://biz.chosun.com/opinion/expert_column/2023/08/08/RPQWM52NCRENNBYCHLJXRWR52A/

 

[전문가 칼럼] 365일 24시간 작동하는 뇌졸중 안전망 구축하려면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확충과 기능 강화 대책에 바라는 점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차재관 신경과 교수
입력 2023.08.08 06:00
 
동아대의대 차재관 신경과 교수
동아대의대 차재관 신경과 교수
 

보건복지부가 지난달 31일 심뇌혈관질환관리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종합계획은 환자 중심의 의료의 수요를 충족하고, 중증 심뇌혈관질환 응급대응체계를 우선 구축하겠다는 것이 골자다. 응급 환자들이 다수 사망하면서, 필수 중증의료 체계를 개편할 필요가 있다고 대두된 현 시점에서 심뇌혈관질환 응급대응체계 구축에 방점을 두겠다는 정부의 접근은 시의적절하다.

 

특히 정부가 ‘전국 어디서나 응급심뇌혈관질환 치료 골든타임 사수’를 중점 추진하겠다고 밝힌 점이 긍정적이다. 지난 2008년 설립된 전국 14개 권역심뇌혈관센터들은 응급환자 치료 골든타임을 사수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 왔지만, 지속적으로 성과를 내기가 힘들었다. 현장의 인프라가 부족하고, 의료 인력도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다.

 

정부는 이번 종합 계획에서 2027년까지 권역센터를 24개소 이상으로 확충해 심뇌혈관질환 치료거점으로 삼겠다고 밝혔다. 이 같은 전략 역시 필수중증의료체계 개편 필요성과 맞물려 시의 적절해 보인다.

 

권역심뇌혈관센터가 설립된 2008년 이후, 국내 뇌졸중 환자의 1년 사망률은 평균 12% 줄었다. 응급 뇌졸중 환자의 동맥 혈관으로 직접 접근해 막힌 부분을 뚫어주는 동맥 내 혈전제거술 10건 가운데 8건은 권역 센터 안에서 이뤄지고 있다. 권역심뇌혈관센터가 지역 수준에서 24시간 뇌졸중치료체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뜻이다.

 

하지만 권역센터 14개로는 전국민의 안전을 책임지기에 턱없이 부족했다. 미국의 권역심뇌혈관센터는 모두 300개다. 미국 인구가 1억 5700만 명이고, 한국 인구는 5500만 명이다. 한국과 미국의 국토 면적을 감안한다고 해도 센터는 더 늘어나야만 한다. 정부 계획대로 권역센터가 24개로 늘어나게 되면 국가 뇌졸중안전망 구축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정부는 2027년까지 24개 권역센터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정부가 수도권을 포함해서 전국에 가능한 빨리 25~30개의 권역센터를 설치하기를 기대한다. 뇌졸중 심근경색 환자의 숫자는 2018년 기준 20만 명에 달하고, 인구 고령화로 빠른 속도로 늘고 있다. 이들을 위한 치료 체계 구축은 아무리 빨라도 지나치지 않기 때문이다. 인구 밀도가 낮아서 권역센터를 설치할 요건을 갖추지 않은 지역은 지역센터를 지정하고 인근 권역센터가 지원하는 연계 시스템 구축을 구축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지난 10년 간 권역센터 운영 경험을 미루어 비추어 볼 때 정부가 지속적인 재정 지원을 담보하지 않는다면, 안정적인 센터 운영은 불가능하다. 재정 지원을 충분히 할 수 없다면, 그에 대한 보완책으로 향후 권역 지역센터사업에 참여하는 병원에 대해서는 정부가 상급병원을 지정할 때 가산점을 주는 등의 정책적인 배려를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제2차 심뇌혈관질환관리 종합계획의 성공을 기반으로 24시간 365일 작동할 수 있는 뇌졸중 안전망 빠른 구축을 기대한다.

 

TOP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