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대한뇌졸중학회

ENGLISH


뉴스룸뇌졸중 뉴스

Admission systolic blood pressure and effect of endovascular treatment in patients with ischaemic stroke: an individual patie
  • 관리자
  • 2023-04-26
  • 조회수 : 296
Link URL : https://

Admission systolic blood pressure and effect of endovascular treatment in patients with ischaemic stroke: an individual patient data meta-analysis

 

Samuels N, et al. Lancet Neurol. 2023 Apr, 10.1016/S1474-4422(23)00076-5.

 

 

Introduction

 

허혈성 뇌졸중 치료에 대한 지침은 혈관내 혈전제거술 전에 혈압을 185/110mm Hg 이하로 유지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하지만 입원 시 수축기 혈압의 혈관내 혈전 제거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려진 바가 없다.

 

 

Objectives

 

입원 시 수축기 혈압이 환자의 기능적인 회복과 혈관내 혈전제거술의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Methods

 

An individual patient data meta-analysis

분석 데이터: individual patient data from seven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MR CLEAN, ESCAPE, EXTEND-IA, SWIFT PRIME, REVASCAT, PISTE, and THRACE): anterior circulation occlusion에 의한 허혈성 뇌졸중 환자에게 혈관내 혈전 제거술와 표준 약물치료를 비교한 연구들

평가 도구:

- 1차평가변수: 뇌졸중 발병 90mRS, NIHSS

- 2차평가변수: 뇌졸중 발병 90일 기능적인 독립성 (mRS2), 무작위배정 24시간후 NIHSS, 혈관내 혈전제거술 후 성공적인 재관류 (mTICI2B), CTMRI에서 측정한 뇌경색 병변 크기

- Safety outcome: 90일 이내 mortality, 증상있는 두개강내 출혈의 발생

● 통계분석: generalized linear mixed models, multivariable ord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multivariab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s

 

1753명의 환자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입원 시 수축기 혈압과 기능적 결과 사이에 변곡점이 140mmHg인 비선형적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753명의 환자 중 732[42%] SBP 140mmHg 미만, 1021[58%] SBP ≥140mmHg).

입원 시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인 경우, 수축기 혈압이 높을수록 기능적 회복 수준이 더 낮았다(adjusted common odds ratio [acOR] 0.86 per 10 mm Hg SBP increase; 95% CI 0.81–0.91).

입원 시 수축기 혈압이 140mmHg 미만인 경우, 수축기 혈압과 기능적 회복 수준 간의 연관성을 발견하지 못했다(acOR 0.97 per 10 mm Hg SBP decrease, 95% CI 0.88–1.05).

입원 시 수축기 혈압과 혈관내 혈전 제거술이 기능적 결과에 미치는 영향 간에는 유의미한 상호작용이 없었다 (p=0-96).

 

Table3: Univariable and multivariable associations of admission SBP with outcomes

 

 

SBP <140 mm Hg (n=732)

SBP ≥140 mm Hg (n=1021)

Unadjusted

Adjusted

Unadjusted

Adjusted

Clinical outcomes

 

 

 

 

mRS at 90 days, common OR

1.04

(0.95 to 1.14)

0.97

(0.88 to 1.05)

0.83

(0.78 to 0.88)

0.86

(0.81 to 0.91)

mRS 0–2 at 90 days, OR

1.03

(0.93 to 1.14)

0.97

(0.86 to 1.09)

0.84

(0.78 to 0.90)

0.86

(0.79 to 0.93)

NIHSS at 24 h, β-coefficient

0.05

(–0.44 to 0.35)

0.02

(–0.32 to 0.37)

0.65

(0.39 to 0.91)

0.54

(0.31 to 0.77)

Imaging outcomes

 

 

 

 

Successful reperfusion*†, OR

1.08

(0.89 to 1.30)

1.04

(0.88 to 1.23)

0.92

(0.82 to 1.02)

0.92

(0.83 to 1.02)

Follow-up infarct volume at 12 h to 2 weeks*,

β-coefficient

3.84

(–8.78 to 1.11)

2.38

(–6.67 to 1.92)

4.82

(1.59 to 8.05)

5.96

(3.19 to 8.73)

Safety outcomes

 

 

 

 

Mortality at 90 days, OR

1.02

(0.88 to 1.18)

1.15

(0.99 to 1.33)

1.22

(1.13 to 1.32)

1.16

(1.07 to 1.27)

Symptomatic intracranial haemorrhage, OR

0.69

(0.47 to 1.09)

0.78

(0.54 to 1.10)

1.16

(1.02 to 1.32)

1.13

(0.98 to 1.26)

           

 

 

 

Conclusions

 

 

높은 입원 시 수축기 혈압은 뇌졸중 후 기능적 예후 악화와 관련이 있었지만, 수축기 혈압이 혈관내 혈전 제거술의 효과를 상쇄하지는 않았다. 이 결과는 허혈성 뇌졸중에 대한 혈관내 혈전제거술을 보류하거나 연기하는 결정의 근거로 입원 수축기 혈압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시사하지만, 가능성을 추가로 검증하기 위해서는 무작위 임상시험이 필요하다.

 

TOP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