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대한뇌졸중학회

ENGLISH


뉴스룸뇌졸중 뉴스

Association Between Magnitude of Differential Blood Pressure Reduction and Secondary Stroke Prevention: A Meta-analysis and M
  • 관리자
  • 2023-03-30
  • 조회수 : 309

Association Between Magnitude of Differential Blood Pressure Reduction and Secondary Stroke Prevention: A Meta-analysis and Meta-Regression

 

 

Hus et al. JAMA Neurology. 2022. DOI: 10.1001/jamaneurol.2023.0218

 

 

Introduction

뇌졸중 또는 TIA 환자에서 재발 예방을 위해 고혈압 조절이 필수적이지만, 기존의 개별적 randomized clinical trial (RCT) 보고에서는 혈압 강하 치료가 뇌졸중 재발율 감소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보고되지 않았다.

 

 

Objectives

본 연구는 메타 분석을 통해 뇌졸중의 secondary prevention을 위한 혈압 조절을 more intensive 하게 (SBP<130 mmHg) 시행하거나 less intensive (SBP<140mmHg) 시행했을 때의 재발율 감소와의 연관성을 보고자 한다.

 

 

Methods

l  대상자: 10건의 RCT 연구에서 뇌졸중 또는 TIA 환자 40,710(여성 13,752(34%),  평균연령 65)

l  1 outcome

       발병 3년 이내 뇌졸중 재발율

l  2 outcome

       Major Cardiovascular Events

       Ischemic Stroke, Hemorrhagic Stroke, and Fatal or Disabling Stroke

       Myocardial infarction

       Death from cardiovascular causes

       Death from any cause

       Heart failure

 

 

Results

l  1outcome인 뇌졸중 재발율은 혈압 조절을 more intensive 하게 한 경우는 absolute 위험도 8.4%, less intensive 하게 한 경우는 위험도 10.1%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l  뇌졸중 재발율과 systolic blood pressure (SBP) 감소 정도의 관련성을 살펴보면, 뇌졸중 재발율은 SBP5 mmHg 이상 감소 시 상대위험도(RR) 0.90 이며, 10 mmHg 이상 감소 시 RR 0.67로 상대위험도가 감소하였다(regression slope, 0.06; 95% CI, 0.08 to 0.03; P =0.001).

l  뇌졸중 재발율과 diastolic blook pressure (DBP) 감소 정도의 관련성을 살펴보면, 뇌졸중 재발율은 DBP 3 mmHg 이상 감소 시 상대위험도(RR) 0.84 이며, 5 mmHg 이상 감소 시 RR 0.60로 상대위험도가 감소하였다(regression slope, 0.17; 95% CI, 0.26 to 0.08; P = 0.003).

l  2outcome major cardiovascular events 발생과 혈압 감소 정도와의 관련성이 관찰되었다.

l  Major cardiovascular eventsSBP 감소 정도의 관련성을 살펴보면, major cardiovascular events 발생율은 SBP 5 mmHg 이상 감소 시 상대위험도(RR) 0.92 이며, 10 mmHg 이상 감소 시 RR 0.75로 상대위험도가 감소하였다(regression slope, 0.04; 95% CI, 0.07 to 0.01; P = 0.001).

l  Major cardiovascular eventsDBP 감소 정도의 관련성을 살펴보면, major cardiovascular events 발생율은 DBP 3 mmHg 이상 감소 시 상대위험도(RR) 0.88 이며, 5 mmHg 이상 감소 시 RR 0.69로 상대위험도가 감소하였다(regression slope, 0.12; 95% CI, 0.25 to 0; P = 0.048).

l  2 outcomehemorrhagic stroke 발생율은 혈압 조절을 more intensive 하게 한 경우는 absolute 위험도 0.7%, less intensive 하게 한 경우는 위험도 1.3%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fetal or disabling stroke 발생율에서도 혈압 조절을 more intensive 하게 한 경우는 absolute 위험도 3.0%, less intensive 하게 한 경우는 위험도 13.9%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l  하지만 2 outcome Ischemic stroke, Myocardial infarction, Death from cardiovascular causes, Death from any cause, Heart failure의 발생율과 혈압 조절 정도와의 관련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Conclusions

본 연구를 통해 혈압 조절을 more intensive 하게 하는 경우가 less intensive 하게 하는 경우보다 뇌졸중의 secondary prevention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OP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