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대한뇌졸중학회

ENGLISH


뉴스룸보도자료

[서울경제] ‘더는 이렇게 못살겠다’는 1년차 전공의…“차마 붙잡지 못했죠”
  • 관리자
  • 2023-11-21
  • 조회수 : 307

■ 이경복 순천향대서울병원 신경과 교수 인터뷰
신경과 안에서도 선호도 갈려···급성 뇌졸중 기피현상 심화
보상 적고 업무 강도·위험 부담 높아 젊은 의사들 떠나기도
전임의도 고갈 위기···선순환 만들려면 인력·보상 확대 필요

이경복 정책이사(순천향대서울병원 신경과 교수)가 필수의료 분야 전공의 증원 필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 제공=대한뇌졸중학회

 

[서울경제]

“1년차 전공의(레지던트)가 갑자기 사직을 신청했길래 이유를 물었죠. 몇 개월 해보니 계속 이렇게 살 자신이 없다고 그러는데, 붙잡지 못하겠더라고요.”

17일 부산에서 열린 대한뇌졸중학회 국제학술대회 (International Conference STROKE UPDATE 2023) 현장에서 만난 이경복 정책이사(순천향대서울병원 신경과 교수)는 “남아있는 전공의들에게 고스란히 업무 부담이 돌아가게 되었으니 미안할 따름”이라며 씁쓸해 했다.

신경과는 올해 상반기 전공의 1년차 전기모집에서 113.3%의 지원율을 기록했다. 병원 영업시간 전부터 대기하는 ‘오픈런’ 사태가 빚어지고 있는 소아청소년과의 지원율 15.9%와 비교하면 넉넉하다고 여겨질 정도다. 이 교수도 치열한 경쟁을 뚫고 뇌졸중 진료의 길로 들어섰다. 그런데 20년새 상황이 달라졌다. 신경과 안에서도 보상은 적고, 업무 강도가 높은 뇌졸중 전문의는 기피하는 현상이 생긴 것이다.

촌각을 다투는 심뇌혈관질환이라고 하면 흔히 응급실에 상주하는 응급의학과나 응급 수술을 담당하는 외과 계열 의사를 떠올린다. 그런데 급성 뇌졸중 환자의 골든타임을 사수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임무 중 하나는 뇌수술이나 시술을 시행해야 하는 환자를 감별해 내는 것이다. 응급실에 뇌졸중 의심 환자가 도착했을 때 얼마나 빨리 진단하고, 급성기 재개통 치료 시행 여부를 결정하려면 적어도 2~3시간 동안은 꼼짝 없이 그 환자에게만 매달려야 한다. 이 교수는 “20년 가까이 온콜(호출당직)을 서면서도 지금 하는 일이 환자의 남은 일생을 좌우한다고 생각하면 책임이 무겁다”며 “그 모습이 전공의 1년 차에게는 원하지 않는 미래로 비춰졌을지도 모르겠다”고 했다.

뇌졸중 치료에서 골든타임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국내 사망 원인 4위인 뇌졸중은 뇌혈관이 갑자기 혈전 등으로 막혀 발생하는 뇌경색이 80%를 차지한다. 증상 발생 4.5시간 이내에 정맥 내 혈전용해제 투여를, 큰 뇌혈관이 막혀 있을 땐 동맥 내 혈전제거술을 시행해야만 후유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다. 뇌경색 발병 후 1시간 30분 내에 혈전용해제를 투여할 경우 치료받지 않은 환자보다 장애가 남지 않을 가능성이 3배 가량 높다. 반대로 3시간을 넘기면 그 가능성은 절반 이하로 낮아진다. 급성기 뇌졸중 치료가 가능하다고 인증을 받은 뇌졸중센터는 현재 전국에 84곳 있다. 문제는 84개 뇌졸중센터에 근무하는 신경과 전임의가 14명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올해는 신경과 전문의 시험에 합격한 83명 중 5명만 뇌졸중 전임의로 지원했다. 의과대학 증원이 초미의 관심사인 요즘말로 ‘낙수’에서 또한번 ‘낙수 효과’를 기대해야 하는 처지다. 비단 뇌졸중 전문의나 신경과 전공의 만의 문제는 아니다.

이 교수는 “전공의들을 필수 진료과로 유인할 해결책은 전공의 증원 뿐”이라며 “우선 인력을 늘리고 수가(의료 서비스 가격)와 같은 보상을 늘려야만 젊은 의사들의 유입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당직이라도 돌아가며 서려면 수련병원 한곳당 전공의가 최소 2명은 돼야 한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충남권역 심뇌혈관질환센터인 순천향대천안병원이 지난해 전공의 정원을 2명으로 늘리고부터 숨통이 트이는 걸 보니 이런 생각에 더욱 확신을 갖게 됐다.

그는 “의대 정원을 늘려서 필수 및 공공의료 분야로 유입될 수 있다면 반대할 이유가 없다. 비급여 영역으로 빠지지 않게 만들 안전장치가 없다는 게 문제”라며 “필수의료 전공의 증원의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으려면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부산=안경진 의료전문기자(realglasses@sedaily.com)

 

TOP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