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대한뇌졸중학회

ENGLISH


뉴스룸저널클럽

전통적 위험인자들은 경동맥 내중막 두께(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변화의 주요 원인이 아니다.
  • 관리자
  • 2013-06-03
  • 조회수 : 7,576

전통적 위험인자들은 경동맥 내중막 두께(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변화의 주요 원인이 아니다.

경동맥 내중막 두께(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cIMT)는 일반적으로 무증상 죽상경화증의 초음파 표지자로 알려져 있다. 전통적 위험인자는 플라크 변화의 약 50%를 설명할 수 있지만, IMT 변화에서는(특히 플라크가 존재하지 않는 부위에서 측정된 경우) 그만큼 설명하지 못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전통적인 위험인자에 의해 설명되지 않는 cIMT의 변화에 대한 연구가 발표되었다.
 
Northern Manhattan 연구의 일부분으로서, 1790명의 뇌졸중 없는 사람들(평균나이 69±9세; 60% 여성; 61% 히스패닉; 19% 흑인; 18%백인)을 대상으로 B모드 경동맥초음파를 사용하여 cIMT를 조사하였다. 다양한 선형회귀모델을 사용하여, (1) 전체적으로 예전부터 알려진 전통적 위험인자들; 과 (2) 염증반응의 생물학적 지표, 아디포넥틴, 호모시스테인, 그리고 신장기능 등과 같은 덜 전통적인 인자들을 평가하였다.

총 cIMT의 평균은 0.92±0.09 mm 이었다. cIMT 변화의 11%가 전통적인 모델에 의해 설명되었다. 나이(7%), 남성(3%), 당(<1%), 흡연력(<1%), 그리고 LDL 콜레스테롤(<1%)이 주요한 기여인자였다. 염증반응의 생물학적 지표를 포함하는 모델로 cIMT 변화의 16%가 설명되었다. 아디포넥틴은 cIMT변화에서 유일하게 추가되는 중요한 인자였다. 358명(20%)의 cIMT의 변화는 조사된 위험인자로 설명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IMT 변화의 작은 부분만이 혈관위험인자에 의해 설명된다. 따라서, 아직 설명되지 않는 무증상 죽상경화증의 토대가 되는 새로운 유전적 환경적요 인을 규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TOP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