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대한뇌졸중학회

ENGLISH


뇌졸중진료지침뇌졸중 진료지침

기타 심장질환 (Other cardiac conditions ) - 발간: 2009.10

PDF 다운로드 다운로드(1131)

서론

심방 세동 이외에도 뇌졸중 발생을 증가시킬 수 있는 심장질환에는 확장성 심근병증, 심장판막질환 (승모판 탈출, 심내막염, 인공판막), 선천성 심질환(열린타원구멍[patent foramen ovale], 심방 중격 결손, 심방중격류) 등이있다.1 급성심근경색증은 심방세동을 유발할 수 있을뿐 아니라 심장탓 색전증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1 개심수술의 경우 일반적인 수술보다 뇌졸중 합병증의 발생 위험이 높다.2,3

 

근거

원인 미상의 뇌졸중(cryptogenic stroke)이 발생한 청장년기 환자의 약40%에서 잠재적인 심장탓 색전증의 원인이 발견된다.4

뇌졸중 발생률은 심장 박출계수(ejection fraction)와 반비례한다. 심근경색 환자 중 박출계수가 29% 미만인 경우가, 35% 이상인 경우에 비해 뇌졸중의 상대위험도가 1.86배 높다.5 박출계수가 5% 감소 할때마다 뇌졸중발생률이 18%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좌심실박출계수가 감소된 특발성 심근병 증 환자에서 심장탓 색전증을 예방하기 위한 와파린(warfarin) 사용에는 논란의 여지가있고, 현재와 파린과항혈소판제의 효능을 비교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관상동맥 우회로 수술(coronary artery bypass graft; CABG) 후 뇌졸중 발생 빈도는 약2-9%이며,2 이는 8-10%의 뇌졸중 발생률을 보이는 판막수술에 비하면 낮은 편이다.3 CABG 수술 시 뇌졸중 발생의 주요 위험인자들로는 고령, 뇌졸중의 과거력, 고혈압, 당뇨병, 흡연, 신부전, 경동맥 협착, 말초혈관질환, 긴 심폐우회시간(prolonged cardiopulmonary bypass time), 대동맥 죽상경화 등이 보고되어 있다.2,3,6

외국의 권고사항

1. It is reasonable to prescribe warfarin to post-ST-segment-elevation MI patients with LV dysfunction with extensive regional wall-motion abnormalities (ASA: LOE Ib, GOR A).

2. Warfarin may be considered in patients with severe LV dysfunction, with or without congestive heart failure (ASA: LOE IV, GOR C).

3. Various AHA (American Heart Association) / ACC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practice guidelines recommend strategies to reduce the risk of stroke in patients with a variety of cardiac conditions. These include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valvular heart disease, unstable angina, chronic stable angina, and acute MI.

국내의 권고사항

1. ST분획상승 심근경색 이후 심장탓 색전증의 발생 위험이 있는 경우 (예, 심방 세동, 심장벽 혈전, 무동 부분 등) 아스피린 등의 항혈소판제제와 항응고제의 병용투여가 바람직하다. 항응고제의 치료기간은 동반된 심장질환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하는데, 심방세동이 있는 경우에는 지속적인항응고제 치료가 바람직하며, 심장벽혈전 또는 무동부분이 있는 경우에는 최소3개월 이상의 항응고제 치료가 추천된다. (근거수준Ib, 권고수준A)

2. 심부전의 동반여부와 상관없이 좌심실기능부전이 심한 경우 와파린 사용을 고려해 볼수 있다. (근거수준IV, 권고수준C)

3. 뇌졸중 발생률을 높일수 있는 심장판막 질환, 협심증, 급성심근경색등의 치료는 심장질환의 일반적인 진료지침을 따르는 것을 추천한다. (권고수준GPP)

4. 관상동맥우회로 수술시 고위험군(65세이상고령, 좌측주관상동맥협착, 말초혈관질환, 일과성 허혈 발작 또는 뇌졸중의 병력, 청진 상 경동맥 잡음)에 대해서는 경동맥 협착 등의 뇌졸중 위험에 대한평가가 고려되어야한다. (권고수준GPP)

참고문헌

1. Antman EM, Anbe DT, Armstrong PW, Bates ER, Green LA, Hand M, Hochman JS, Krumholz HM, Kushner FG, Lamas GA, Mullany CJ, Ornato JP, Pearle DL, Sloan MA, Smith SC, Jr., Alpert JS, Anderson JL, Faxon DP, Fuster V, Gibbons RJ, Gregoratos G, Halperin JL, Hiratzka LF, Hunt SA, Jacobs AK. ACC/AHA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ST-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Practice Guidelines (Committee to Revise the 1999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Circulation. 2004;110:e82-292.

2. Dafer RM. Risk estimates of stroke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and carotid endarterectomy. Neurol Clin. 2006;24:795-806, xi.

3. Bucerius J, Gummert JF, Borger MA, Walther T, Doll N, Onnasch JF, Metz S, Falk V, Mohr FW. Stroke after cardiac surgery: a risk factor analysis of 16,184 consecutive adult patients. Ann Thorac Surg. 2003;75:472-478.

4. Di Pasquale G US, Pinelli G. Cardiac investigation in patients with cerebrovascular disease. In: Ginsberg M, Bogousslavsky J, eds. Cerebrovascular Disease: Pathophysiology, Diagnosis, and Management.: Malden, Mass: Blackwell Science; 1998.

5. Loh E, Sutton MS, Wun CC, Rouleau JL, Flaker GC, Gottlieb SS, Lamas GA, Moye LA, Goldhaber SZ, Pfeffer MA. Ventricular dysfunction and the risk of stroke after myocardial infarction. N Engl J Med. 1997;336:251-257.

6. John R, Choudhri AF, Weinberg AD, Ting W, Rose EA, Smith CR, Oz MC. Multicenter review of preoperative risk factors for stroke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Ann Thorac Surg. 2000;69:30-35.

TOP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