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대한뇌졸중학회

ENGLISH


뉴스룸뇌졸중 뉴스

고용량 스타틴 치료가 증후성 두개강 내 대뇌 동맥의 죽상경화반을 안정시킬 가능성이 있음을 보고하는 고해상도 MRI 연구
  • 관리자M2
  • 2016-07-12
  • 조회수 : 9,948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감소시키는 statin 고유의 목적 이외에도, statin은 다양한 효과를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그 중 혈관성 질환 환자를 치료하는 의사들이 가장 주목하는 지점은, 바로 죽상경화반을 안정시키는 치료(plaque regression therapy)의 일환으로 statin이 사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다. 그러한 가능성은 이전에 관상 동맥 및 내경동맥에서는 수 차례 확인이 되었으나, 아직 두개강 내 혈관 협착에서는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특히 두개강 내 죽상경화반은, 경화반이 있는 바로 그 자리에서 혈관을 막거나 작은 분지 혈관의 입구를 막기도 하지만 동시에 혈관 말단부로의 색전증을 유발하기도 하는 등, 서로 다른 병태 생리를 통해 뇌경색을 유발할 수 있다. 저자들은 고해상도 MR 영상의 요소를 정량화하여, 고용량 스타틴 치료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고해상도 MR로 영상화한 증후성 두개강 내 협착 위치를, 저자들은 MIPAV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정량화하였다. 이 때 저자들은 내경 / 혈관 / 혈관벽의 면적, 협착의 정도, 재형성 지표(remodeling index), 조영 증강 여부 및 패턴 그리고 조영 증강 영역의 부피를 측정하였다. 여러 명의 연구자가 이들 지표를 측정하여 평가자 간 일치도를 계산하였으며, 한 명의 연구자가 2주 후 다시 이를 측정하여 평가자 내부 일치도 역시 제시하였다.

총 136명의 환자가 본 연구에 포함되었으며, 이 중 statin을 복용하지 않던 환자 98명, 저용량 statin 복용 환자 22명 및 고용량 statin 복용 환자 16명을 분석하였다. 환자의 기초적인 특성 가운데, statin 복용 환자는 상대적으로 고혈압이나 관상동맥 질환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다만, 고용량 statin 복용에도 불구하고 이 환자군에서 저밀도 콜레스테롤의 혈중 농도는 다른 환자군에 비하여 낮지 않았다. 증상 발생 이후 MRI 촬영 시점까지의 소요 시간은 각 군에서 유사하였다.

고해상도 MR의 각 지표를 분석할 때, 고용량 statin 사용군은 협착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으며 조영 증강 병변이 적고 그 부피 역시 적은 편이었다. 주요 공변량을 보정한 다변수 모델 결과, 조영 증강 병변의 부피와 유의한 관련성을 갖는 인자는 Lp-PLA2 및 statin 사용이었다. 특히 statin의 용량과 조영 증강 병변의 부피는 용량-의존적 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한편, 저자들은 두개강 내 죽상경화반의 조영 증강 병변 부피와 뇌경색의 패턴에 대한 분석을 함께 수행하였다. 그 결과 조영 증강 병변이 클 수록 상대적으로 대뇌 피질 혹은 심부에 부피가 큰 뇌경색 병변이 발생하는 점이 드러났다. 그러나 조영 증강 병변의 부피는 뇌경색 병변의 부피 혹은 초기 NIHSS score와는 명확한 연관성을 보이지 못했다. 

  


본 연구의 결과, 뇌경색 발병 이전 statin을 복용하는 것이 증후성 두개강 내 죽상경화반의 안정에 기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그리고 그 결과 뇌경색 병변이 비교적 예후가 양호한 심부 혹은 피질부의 작은 병변으로 한정될 수 있다는 점도 이 연구에서 드러났다. 다만 이 연구는 연구 대상 환자의 수가 작고, 발병 이전에 statin을 복용한 기간 및 약물 순응도 등에 대해 연구자가 통제하기 어려운 연구 디자인이라는 한계를 갖고 있다.

Previous Statin Use and High-Resoluti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Characteristics of Intracranial Atherosclerotic Plaque: The Intensive Statin Treatment in Acute Ischemic Stroke Patients With Intracranial Atherosclerosis Study
Jong-Won Chung, Jaechun Hwang, Mi Ji Lee, Jihoon Cha, Oh Young Bang


Stroke 2016;47:1789-1796.
DOI: 10.1161/STROKEAHA.116.013495.

TOP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