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대한뇌졸중학회

ENGLISH


뉴스룸뇌졸중 뉴스

뇌졸중 이후 실어증에 대한 anodal tDCS 효과 규명 연구 (Randomized Clinical Trial)
  • 관리자
  • 2019-01-21
  • 조회수 : 2,289

뇌졸중 이후 실어증에 대한 anodal tDCS 효과 규명 연구 (Randomized Clinical Trial)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이후 만성적 실어증에 대한 adjunctive therapy 로써의 anodal tDCS (A-tDCS) 의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 디자인은 double-blinded RCT 이며, futility design 으로 귀무가설로 ‘A-tDCS 가 sham tDCS (s-tDCS) 보다 효과가 있다’ 로 잡았기 때문에, 귀무가설이 기각되지 않는다면 superior trial design 으로 further RCT 이 필요함을 보일 수 있는 연구 설계이다.

좌측 대뇌 반구의 초발 허혈성 뇌졸중 환자를 2012년 8월부터 2017년 3월까지 모집하였으며, 뇌졸중 이후의 최소한 6개월이 지난 시점의 환자로 제한하였다. 아울러, 병전에 우측 손을 우세 손으로 사용하였고, 뇌졸중 이후 Western Aphasia Battery-Revised 로 실어증이 확인된 경우로 모집 환자의 조건을 제한하였다. 뇌수술의 병력 또는 이전 12개월 동안 seizure 가 있었던 병력을 가지고 있거나, Philadelphia Naming Test (PNT) 에서 80% 이상의 정확도를 보이는 경우 또는 80개의 항목 중 5개의 항목의 이름도 대지 못하는 환자는 베제하였다. 모집된 환자들은 나이, 실어증 유형, 실어증 정도의 imbalance 를 방지하기 위해서 balancing algorithm 을 활용하여 randomization 하였다.

computerized task 를 통해 실어증 치료가 이루어졌으며, 들리고 보이는 단어와 그것을 묘사하는 그림을 매칭시키는 훈련을 포함한 훈련이었다. 환자의 개별 매칭 반응에 대한 컴퓨터의 피드백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졌으며 매칭 정확도는 각 세션의 마지막에 컴퓨터 화면에 표시되었다. 사용 빈도에 균형을 맞춰 단어를 선택하였고, 총 160개의 단어가 제시되었다.

functional MRI 와 structural MRI 를 활용하여 anodal tDCS 부착부위를 결정하였고, cathodal tDCS 는 반대편의 supraorbial frontal scalp 에 부착하였다. 1mA 의 자극강도를 사용하였고, 45분간의 실어증 치료 세션에서 첫 20분간 전류가 흐르게 하였다. 언어치료사 및 환자는 자신이 어떤 치료를 받고 있는지 모르게 하였다. sham tDCS 로 배정된 환자의 경우에는 첫 30초 동안만 전류가 흐르게 하였고, 이후 15초 동안 전류가 서서히 줄어들게 하여 나머지 치료시간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하였다.

초기 평가는 2일에 걸쳐 진행되었고 병력, 신경학적, 언어, 인지적 평가가 이루어졌다 (NIHSS, WAB-R, Boston Naming Test-Second Edition, Pyramids and Palm Trees Test, Apraxia of Speech Rating Scale, matrix reasoning subtest of the 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 (3rd Ed.)). 이후 치료는 21일 이내에 15세션을 통해 이루어졌고, 각 세션은 45분간 진행되었다.

primary outcome 은 치료 이후 1주일 시점에서, 학습된 단어 중 정확히 맞춘 항목의 개수로 설정하였다. primary outcome 의 변화는 치료 전 2회의 평가 결과의 평균에서 치료 후 2회의 평가 결과의 평균의 변화량으로 설정하였다. 치료 이후 1주일 시점 뿐 아니라, 4주, 24주 시점에서의 결과도 outcome 으로 분석하였다.

89명의 환자가 screening 되었고 Fig.1 과 같은 flow 에 의해 74명이 randomization 되어 각 그룹에 배정되었다. 그들은 평균 50세, 15년의 교육 기간, stroke 이후 44 개월이 지난 환자였다 (Table 1). Table 2 와 Fig. 2 에서와 같이 A-tDCS 그룹의 환자들은 초기 평가에 비해 치료 후 1주일 평가에서 추가로 13.9개의 단어를 정확히 말할 수 있게 되었고, sham tDCS 그룹의 환자들의 경우에는 추가로 8.2개의 단어를 정확히 말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르지는 못했다. 이는 'A-tDCS 가 sham tDCS (s-tDCS) 보다 효과가 있다' 라는 귀무가설을 일단 유지해야 함을 의미하므로, 향후 추가적인 RCT 가 필요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Fridriksson J, Rorden C, Elm J, Sen S, George MS, Bonilha L.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vs Sham Stimulation to Treat Aphasia After Stroke: A Randomized Clinical Trial. JAMA Neurol. 2018. doi:10.1001/jamaneurol.2018.2287.


TOP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