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대한뇌졸중학회

ENGLISH


뉴스룸뇌졸중 뉴스

뇌졸중 환자에서 반복 경두개 자기자극의 운동기능 회복과 운동피질 흥분성에 대한 효과: 무작위 대조군 연구
  • 관리자
  • 2016-09-21
  • 조회수 : 10,459

뇌졸중 환자에서 반복 경두개 자기자극의 운동기능 회복과 운동피질 흥분성에 대한 효과: 무작위 대조군 연구

반복 경두개 자기자극(rTMS)은 대뇌운동피질의 흥분도를 변화시킴으로써 뇌졸중 이후 운동기능 회복을 유도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치료로 알려져 있다. 이 무작위 이중맹검 연구는 뇌졸중 초기에 운동기능 회복에 미치는 고빈도와 저빈도 반복 경두개 자기자극(rTMS)의 효과를 비교하고 운동기능 회복과 신경생리적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발병후 3일에서 30일까지의 운동기능저하를 보이는 초발성 중대뇌동맥 허혈성 뇌졸중 환자 총 6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은 3-Hz ipsilesional rTMS군, 1-Hz contralesional rTMS군, sham rTMS군으로 무작위로 배정되었다. 이들은 기존의 표준재활치료 외에 중재치료를 하루1회씩 총 5회 실시하였다. Outcome으로는 운동기능검사(FMA), 신경학적 평가(NIHSS), 피질 흥분성(MEP)을 치료전과 치료 직후(치료종료 5일뒤), 치료종료 후 3개월까지 재평가 하였다.

반복 경두개 자기자극(rTMS)을 시행한 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운동기능이 더 많이 호전되었고, 이는 치료종료 후 3개월까지 지속되는 소견을 보였다. 반복 경두개 자기자극(rTMS)을 시행한 군 중에서는 비손상 대뇌반구에 1-Hz rTMS를 시행한 군에서 손상 대뇌반구에 3-Hz rTMS를 시행한 군보다 상지 운동기능(FMA-UL)을 호전시키는데 더 큰 효과를 보였다(1-Hz vs. sham, P = 0.03; 3-Hz vs. sham, P=0.101). 하지 운동기능(FMA-LL) 은 실제 rTMS를 시행한 두 군에서 모두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호전되었다(3-Hz vs. sham, P = 0.021; 1-Hz vs. sham, P = 0.048). 또한 치료 후 rTMS를 시행한 군에서 대조군보다 신경학적 평가(NIHSS)에서도 더 많은 호전을 보였다(3-Hz vs. sham, P = 0.042; 1-Hz vs. sham, P = 0.017). Repeated-measures ANOVA 분석에서 손상 대뇌반구의 피질흥분도(rMT감소, MEP amplitude 증가, MEP latency 감소)는 3-Hz 와 1-Hz rTMS군에서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 0.001). 반면, 비손상 대뇌반구의 피질흥분도(rMT증가, MEP amplitude 감소, MEP latency 증가)는 1-Hz rTMS군에서만 유의하게 억제되었고 3-Hz 와 sham rTMS군에서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상지 운동기능(FMA-UL)의 호전과 손상 반구의 운동 피질 흥분도의 증가(휴지기 운동 역치로 나타남)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 = 0.615, P < 0.001). 그러나 운동기능 호전과 비손상 반구의 휴지기 운동 역치는 상관관계가 없었다(r = 0.062, P = 0.721).

모든 군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운동기능이 호전되는 경향을 보였지만, 3-Hz rTMS군이 유의한 상지 운동기능의 호전을 보이지 않은 것은 손상 대뇌반구의 불충분한 자극은 뇌졸중 환자의 운동기능 회복에 도움을 주지 않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1-Hz 자극이 3-Hz 자극보다 뇌졸중의 회복에 더 우월한 신경조절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반복 경두개 자기자극(rTMS)은 급성기와 아급성기 뇌졸중 이후 운동기능 회복을 촉진시키는데 있어 유용한 신경재활치료적 방법임을 시사한다.

European Journal of Neurology 2016, 0: 1–7

첨부파일 1 Effects of rTMS on motor recovery and motor cortex excitability in patients with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pdf (다운 554회) 첨부파일 다운로드

TOP



S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