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대한뇌졸중학회

ENGLISH


뉴스룸뇌졸중 뉴스

국소 허혈성 뇌졸중 모델에서 GAT3 선택적 기질인 I-isoserine에 의한 GAT3 발현 증가 및 기능회복 증진
  • 관리자
  • 2019-05-15
  • 조회수 : 1,579

국소 허혈성 뇌졸중 모델에서 GAT3 선택적 기질인 I-isoserine에 의한 GAT3 발현 증가 및 기능회복 증진
GAT3 selective substrate l-isoserine upregulates GAT3 expression and increases functional recovery after a focal ischemic stroke in mice.


허혈성 뇌졸중 후 감마 아미노낙산 또는 감마 아미노뷰티르산 (γ-Aminobutyric acid, GABA)에 의한 tonic inhibition (토닉 억제, 지속적 억제)의 상승이 회복에 필요한 새로운 구조적·기능적 피질 회로를 형성하는 뇌의 능력의 손상을 유발한다. 뇌졸중에 의해 유도된 토닉 억제는 교세포에 존재하는 GABA 수송체인 GABA transporter type 3 (GAT3)의 GABA 흡수 기능의 손상에 기인하며, GAT3는 최근 뇌졸중 회복에서 새로운 표적으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자들은 광혈전 유도 뇌졸중 마우스 모델에서 GAT3 단백질 레벨이 뇌졸중 후 6시간부터 42일까지 뇌경색 주변부위 조직에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선행연구들에서 GAT기질이 GAT주변부위에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보고들이 있었으므로 본 연구에서 GAT3 기질인 L-isoserine이 뇌졸중 후 기능회복을 증가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L-isoserine (38uM 또는 380 uM)을 뇌졸중 후 5일째부터 32일까지 뇌경색 부위로 직접 투여하여 뇌경색 부피 및 행동평가, GAT3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검사하였다. 그 결과로 뇌경색 부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농도 의존적으로 grid-walking 테스트 및 실린더 검사를 통한 운동 실행 기능 평가에서 유의하게 기능 회복이 증가되었다. 또한, L-isoserine 은 뇌경색 주변부위에서 GFAP 발현이 다소 감소함과 함께 GAT3 발현의 지속적인 증가가 유발되었다.

본 연구는 국소 허혈성 뇌졸중에서 GAT3 기질의 지연된 장기 치료에 의하여 GAT3의 발현이 증가되고 기능적 회복이 증가되는 것을 최초로 보여준 연구이다. 본 연구자들은 GAT3 매개 전달을 강화하는 것이 토닉 억제를 둔화시키고 뇌졸중 후 기능 회복을 촉진한다고 제안한다.







J Cereb Blood Flow Metab.
2019 Jan;39(1):74-88. doi: 10.1177/0271678X17744123.


첨부파일 1 Lie JCBFM 2019 GAT3 selective substrate L-isoserine upregulates GAT3 expression and increases functional recovery after a focal ischemic stroke in mice.pdf (다운 503회) 첨부파일 다운로드

TOP



SSL